본문 바로가기
Lecture

[패스트캠퍼스 베타러너 후기] 테디노트의 RAG 비법노트 : 랭체인을 활용한 GPT부터 로컬 모델까지의 RAG 가이드

by 남디윤 2024. 7. 31.

 

 

 

 

 

 

 

안녕하세요 오늘은 베타러너로 미리 수강한 강의인

"테디노트의 RAG 비법노트 : 랭체인을 활용한 GPT부터 로컬 모델까지의 RAG 가이드"  후기를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패스트캠퍼스에 이 강의가 런칭되기 전부터 테디노트님의 랭체인노트를 알고 있었는데

패스트캠퍼스에 강의가 나오길래

오 패캠이 모셔갔군이란 생각을 했었던 강의였어용 ㅋㅋㅋㅋ

 

그만큼 랭체인 관련해서는 가장 유명하신 테디노트님이고,

그래서 궁금했던 강의였답니다.

 

 

 

 

 

사실 테디노트님은 랭체인 이전에도 유명한 분이셨죠

저도 처음 유튜브에서 테디노트님을 알게된건 깃허브 블로그 연동 뭐 그 영상이였던 것 같은데 ㅋㅋㅋ

 

그리고 이 강의에도 스트림릿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시는데

저도 테디노트님의 유튜브 스트림릿 강의로 스트림릿을 입문한 사람인지라, 감사한 마음으로 강의를 수강했습니다.

 

랭체인 노트는 위키독스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해주고 계신데,

초반부는 랭체인 documentation을 한국어 버전으로 작성 및 예시를 만들어주셨었고

최근에는 업데이트 되고 있는 새로운 기능 위주로 작성해주고 계신데요

한국에서 랭체인을 사용하는 분들께 큰 힘이 되어주고 계십니다 ㅎㅎ

 

 

 

 

 

 

기본적으로 강의 내용도 랭체인 노트를 중심으로 진행해주시는 것 같았어요

대신 강의인만큼 코드 구현을 위주로 해주셔서 좀 더 빠르게 이해를 하면서 진행을 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평소에는 몰랐던 테디노트님만의 꿀팁을 중간중간 알려주세요

예를 들면 구분자로 # 을 넣어주면 좋다. 

이런 소소한 꿀팁이 저는 좋더라구요

 

 

 

 

 

 

 

 

제가 이번에 베타러너로 참여하게 된 부분이 파서 부분이였는데,

랭체인 노트에 나온 내용 말고도 프로젝트로 보여주시는 내용이 있어서

이 기능이 이렇게도 활용되겠구나 싶었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제가 수강한 부분 이외에도 커리큘럼과 강의 계획서를 보니까 "RAG 가이드" 라는 말에 맞게 커리가 구성되어 있는 것 같더라구요

무엇보다 기대되는 부분은 멀티 에이전트를 위한 LangGraph와 Advanced RAG 부분!

다양한 Advanced Rag를 소개도 해주시고 실습도 진행한다고 하니, 나중에 꼭 들어보려고 합니다

 

 

 

 


 

 

이 강의를 제가 보고 나서 추천드리고 싶은 분들은

1. 랭체인 노트를 강의 형식으로 쉽게 쭉 이해하고 싶은 분들

2. RAG에 관심이 많은 분들

3. 프로젝트에 적용하면서 이해하고 싶은 분들

께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https://bit.ly/3VQIsIu

*본 게시물은 베타러너 활동의 일환으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