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연구하거나 프로젝트하면서 허깅페이스를 사용하는 일이 많습니다.
깃허브로는 관리하지 못하는 모델을 관리할 수 있기도 하고,
다른 모델 사용하거나 데이터셋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허깅페이스에 자주 접속중인데 ㅎㅎ
오늘은 허깅페이스 모델 업로드하는 법에 대해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 참고하였습니다 ㅎㅎ
https://huggingface.co/docs/hub/repositories-getting-started#terminal
Getting Started with Repositories
This beginner-friendly guide will help you get the basic skills you need to create and manage your repository on the Hub. Each section builds on the previous one, so feel free to choose where to start! This document shows how to handle repositories through
huggingface.co
+) 25.05.07 추가
huggingface-cli 로 업로드하는게 생겼더라고용
최소 1줄, 최대 3줄이면 업로드 가능해졌습니다~
new model한 다음에 기본 페이지에 하는법 나와있어용
1. 모델 레퍼지토리를 먼저 준비해주세요
(커맨드로 해도 되는데 저는 그냥 웹에서 만들어줬습니다.)
2. 모델 페이지에서 점 세개 누르시고 [Clone repository]부분 클릭
"git clone~" 부분 복사 후 커맨드에 붙혀넣기
3. clone 한 폴더로 이동 후,
git lfs install
huggingface-cli lfs-enable-largefiles .
4. git config 설정
git config user.name "자기 username"
git config user.email "자기 이메일"
이미 설정되어 있으시면 안하셔도 됩니다.
저는 공용 서버여서 할 때마다 입력하고 있어용
5. largefile track 필요한 파일 추가
저의 경우 tokenizer.json 만 추가하였습니다.
6. 업로드한 파일 복사 또는 이동
7. git add .
clone한 repository (폴더)에서 git add . 해주세용
8. git commit -m "커밋 메세지"
9. git push
username 에는 huggingface username 을 입력하면 되고
password 에는 huggingface access token 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두 번씩 입력하라고 뜨는데 정상입니다. ㅎㅎ
깃허브랑 거의 비슷한데 차이는 lfs 를 사용해야한다는 점입니다.
5기가 이상의 파일에는 꼭 사용해줘야한다고 하네요
tokenizer.json의 경우에도 track 꼭 설정해야하는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ㅎㅎ
'Development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nAI GPT API 기간 한정 무료 토큰 이용 사용하는 법(free daily usage ~25.04.30) (0) | 2025.04.24 |
---|---|
[논문 탐색하는 법] 인공지능융합학과 대학원 3기가 사용 중인 방법들 (4) | 2024.09.10 |
Ollama를 이용해서 llama3.1 8B(양자화 모델)을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기 (feat. 테디노트) (0) | 2024.08.04 |
AI HUB 안심존 오프라인 센터 (서울, 서초) 방문 후기 (환경 세팅법, 사용 방법 등) (3) | 2024.02.24 |
AI HUB tar 파일 다운 및 압축해제 하기 (tar → part → tar.gz → wav) (1) | 2024.01.07 |